삼승할망 구삼승할망
동해용왕이 서해용왕 딸과 혼인을 했다. 마흔이 다 되도록 아이가 생기지 않자 근심 끝에 점을 쳤다. 명산대찰에 정성을 들이면 자식을 얻는다 해서 동해용왕은 관음사에 가 백일기도를 정성껏 올렸다.
정성이 닿았는지 얼마 안 있어 용왕부인은 태기가 있었다. 아들을 바랐지만 선녀처럼 예쁜 딸이 태어났다. 조금 섭섭하긴 했지만 딸자식인들 어떠냐며 극진히 귀하게 키웠다.
그러나 너무 호호 모셔가며 키운 탓에 딸아이는 여러 가지 죄를 지었다. 한 살 때는 어머니 젖가슴을 때린 죄, 두 살 때는 아버지 수염을 뽑은 죄, 세살 때는 널어놓은 곡식을 흩뿌린 죄, 네 살 때는 조상 불효, 다섯 살 때는 친족 불화…, 아홉 살 때는 말 모르는 짐승을 때리는 죄를 지었다. 죄목이 점점 많아지자 용궁사람들의 원성이 높아만 갔다.
아버지 동해용왕은 이 딸을 죽이기로 작정했다. 딸의 목숨이 위험하다는 걸 안 용왕부인이 남편을 달랬다.
“내 속으로 낳은 자식을 어찌 죽일 수가 있습니까? 그러지말고 석함 속에 가두어 동해바다로 띄워버리는 게 어떻습니까?”
일이 진행되어 가자 용왕의 딸은 눈앞이 캄캄해졌다.
“어머니, 나 인간 세상에 가서 무슨 일을 하며 살란 말입니까?” “그곳에 생불왕(生佛王:인간을 잉태시켜 낳게 해주고 길러주는 신)이 없으니, 생불왕으로 들어서서 얻어먹고 살 거라.” “어떻게 잉태시키고 어떻게 낳게 하는 겁니까?” “아버지 몸에 하얀 피 석 달 열흘, 어머니 몸에 검은 피 석 달 열흘, 아홉 달…”
방법을 미처 다 듣기도 전에 용왕의 불호령이 떨어지고 용왕의 딸은 석함 속에 가두어진 채 자물쇠가 단단히 채워져 버리고 말았다. 석함에는 ‘임박사가 열어보라’는 글자가 씌어졌다.
동해바다로 띄워진 석함은 물 아래로 삼년, 물 위로 삼년을 떠다니다가 처녀물가에 닿았다. 석함은 임박사에게 넘겨졌다. 임박사가 발로 툭 차자 굳게 잠겨있던 자물쇠가 저절로 열렸다. 석함 속에는 꽃처럼 어여쁜 아가씨가 앉아 있었다. |
“너는 귀신이냐, 사람이냐?” “나는 동해용왕의 딸입니다. 인간에 생불왕이 없다고 해서 생불왕이 되려고 왔습니다.” “그래? 그럼 우리 부부가 쉰이 지나도 아이가 없으니 생불을 주는 게 어떻겠느냐?” “그럽시다.”
동해용왕 딸은 어머니가 가르쳐준 대로 임박사 부인에게 생불을 주었다. 그러나 열 달 만삭이 되자 딱한 일이 생겨버렸다. 아버지의 호령 때문에 어디로 해산을 시켜야 하는지를 어머니에게 미처 못 들었던 것이다.
산모는 열두 달을 넘겨버렸다. 뱃속의 아이보다 산모가 사경에 이르게 되었다. 동해용왕 딸은 어떻게든 해산을 시켜보려고 은가위로 산모의 오른쪽 겨드랑이를 솜솜이 끊고 아이를 꺼내려 했다. 그야말로 큰일이 났다. 산모와 아이를 모두 잃게 된 것이다.
겁이 난 동해용왕 딸은 임박사의 집을 빠져나와 처녀물가로 달려갔다. 그리고 버드나무 아래 주저앉아 하염없이 울었다. 어렵게 얻은 아이는 물론 부인마저 잃게 된 임박사는 그 애끓는 사정을 호소할 곳이 없었다. 생각 끝에 금백산에 올라가 칠성단을 차려놓고 요령을 흔들면서 옥황상제에게 호소했다.
임박사의 요령소리를 들은 옥황상제는 지부사천대왕을 불러 연유를 듣고, 인간세상의 생불왕으로 들어설만한 자를 추천하라고 했다.
“인간 명진국(수명이 긴 나라) 딸이 병인년 병인월 병인일 병인시에 태어났고,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고 일가친족과 화목하고 깊은 물에 다리를 놓아 내를 건너게 하는 공덕을 쌓았으니, 그 아가씨를 생불왕으로 들여세우면 어떻겠습니까?”
옥황상제는 곧 금부도사(禁府都事)를 내려 보내 명진국 딸을 데려오도록 했다. 명진국 딸이 오자 옥황상제는 마음을 떠보기 위해 일부러 야단을 쳤다.
“총각머리 등에 진 아가씨가 어찌 대청 한 가운데로 들어오느냐?” “남녀 구별이 있는데 어쩐 일로 총각머리 등에 진 처녀를 부릅디까?” “영리하고 당차구나. 그만하면 인간 생불왕으로 들어설 만 하구나.”
옥황상제는 두 말 없이 생불왕으로 허락했다.
“옥황상제님. 어리고 미욱한 소녀가 어찌 생불을 주고 환생을 줍니까?” “아버지 몸에 흰 피 석 달 열흘, 어머니 몸에 검은 피 석 달 열흘, 살 살려 석 달, 벼 살려 석 달, 열 달 채 못 채워서, 어머니 느슨한 뼈는 당기고 빠듯한 뼈는 늦추어서 열 두 궁문(宮門)으로 낳게 해라.”
그렇게 해서 명진국 딸은 물색 명주 속곳에 하얀 바지, 남색저고리에 자주색 치마를 입은 눈부신 차림으로 생불왕이 되어 사월 초파일에 인간세상에 내려 왔다.
|
명진국 딸이 처녀물가에 이르렀는데, 수양버들 아래서 웬 처녀가 슬피 울며 앉아 있었다. 가까이 다가가 사연을 물었다. 동해용왕의 딸이라는 처녀는 생불왕이 되려고 귀양왔다가 딱한 사정이 있어 울고 있다고 했다.
“그게 무슨 소립니까? 내가 옥황황제의 분부를 받은 인간 생불왕입니다.”
명진국 딸의 딱 부러진 말을 들은 동해용왕 딸은 화를 벌컥 내며 일어서더니, 두말 않고 명진국 딸의 머리채를 감아쥐며 마구 때렸다. 명진국 딸은 차분하게 제안을 했다.
“우리 여기서 이럴 게 아니라 옥황상제에게 가서 가려달라고 하는게 어떻겠느냐?”
두 처녀는 옥황상제에게 올라갔다. 난처해진 옥황상제는 시험을 해보기로했다.
“꽃씨를 하나씩 줄 테니 서천서역국(西天西域國) 모래밭에 심어라. 꽃이 피는 걸 보고 생불왕을 정하도록 하겠다.”
두 처녀는 저마다 모래밭에 꽃씨를 심었다. 움이 돋아나고 가지가 뻗어갔다. 옥황상제가 꽃을 심사하러 나갔다. 동해용궁 딸의 꽃은 뿌리도 하나고, 가지도 하나고, 순도 하나가 겨우 돋아나 있었다. 명진국 딸의 꽃은 뿌리는 하나지만, 4만5천6백 가지가 뻗어나고 있었다.
옥황상제의 분부가 내려졌다. |
“동해용왕 딸의 꽃은 이울어져가니, 죽어 저승에 간 아이의 영혼을 차지하는 저승할망으로 들어서라. 명진국 딸의 꽃은 번성하고 있으니 생불왕으로 들어서라”
화가 난 동해용왕 딸은 명진국 딸의 꽃가지 하나를 오도독 꺾어 가졌다. 명진국 딸이 대들었다.
“남의 꽃가지는 왜 꺾어 가지느냐?” “아기가 태어나서 백일이 지나면 내가 경풍(驚風), 경세(驚勢) 따위의 온갖 병에 걸리게 하겠다.”
명진국 딸은 어떻게든 동해용왕의 딸을 달래야겠다고 생각하고 사정하듯 타일렀다.
“아기가 태어나면 너를 위해 좋은 음식을 차려줄 테니 서로 좋은 마음을 갖자.”
그렇게 하기로 하고 두 처녀는 작별잔을 나눈 뒤 헤어졌다. 동해용왕 딸은 저승으로 올라갔다.
생불왕이 되어 인간세상으로 내려온 명진국 딸은 우선 금백산 아래 비자나무를 기둥으로 삼고, 정자나무로 도리를 걸고, 대추나무로 서까래를 걸어 으리으리한 누각을 짓게 했다. 다락의 네 귀에는 풍경을 달아놓고, 널찍하게 내성과 외성을 둘렀다. 그리고 문 밖에 60명, 문 안에 60명의 아기업개를 거느렸다.
한쪽 손에는 번성꽃을, 한쪽 손에는 환생꽃을 쥐고 생불왕으로 좌정한 명진국 딸은 앉아서 천리를 보고, 서서 만리를 보며, 하루 만 명씩 잉태시켜 주고 또 해산시켜 주었다.
※ 이 신화는 ‘삼승할망’에게 자식을 점지해 주도록 비는 굿인 ‘불도맞이’에서 불려진다. 삼승할망은 아이의 잉태를 가져오는 산육신(産育神)인 삼신할머니다. 제주신화 속에서의 ‘할망’은 ‘여신’에게 붙이는 신격존칭으로 쓰인다. 삼승할망은 ‘생불왕’, ‘이승할망’, ‘불도할망’ 등으로도 부른다. 삼승할망인 명진국 딸은 병인년 병인월 병인일 병인시에 태어났다. 갑자년 갑자월에 이루어진 천지개벽, 을축년 을축월에 이루어진 고양부의 개국에 이은 중요한 출현인 것이다. 저승할망이 된 동해용왕의 딸은 ‘옛 삼승할망’이라는 뜻으로 ‘구삼승할망’이라고도 부른다. 꽃 심사에서 진 뒤 아이에게 궂은 병을 주겠다고 심술을 부리는 저승할망을 달래느라 삼승할망이 아이가 태어나면 좋은 음식을 차려주겠다고 한 약속 때문에 아이가 아프면 저승할망을 위한 음식상을 차려 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