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자료

영등신


수원리 마을은 이 고장 전설 속의 신(神)인 영등신(靈登神)을 모시고 제사를 마을 공동체로 행사는 풍습이 전해 내려왔었다.
영등(靈登)의 기원은 언제부터인지 모르나 전설에 의하면 지나상인(支那商人=中國人)이 제주해안에 표류하면서 죽은바 사체(死體)가 분해되어 머리는 어등포(漁登浦=一名 月丁浦)에 오르고 수족은 명월포(明月浦)와 애월 고내표(高內浦)에 오르니 그 비참함이 말로 형언할 수 없었다. 이러한 비참함을 막기 위하여 그해 그시에 바람이 서해(西海)로 불어오면 마을 사람들은 영등신이 내려온다하여 해안가 주민들은 무당을 청하여 밖에서 제사를 지내고 영등신을 초청하여 굿을 밤부터 시작하여 낮이 되도록 한 후 가짜 집을 만들되 모양을 말의 머리와 같이하여 곱게 꾸미고 뛰는 말의 모양을 갖추어 신을 즐겁게 한후 2월 초열흘과 보름사이에 가짜 배를 지어서 돛폭을 갖추어 포구에 띄운 후 무당의 주문으로써 새롭게 잘 차린 음식을 만들어 대접한 후 신을 보내면 그때에야 동북풍이 불며 영등신은 떠난다고 하였다.
음력 이월 초하루에 날씨가 맑으면 옷벗은 영등이 왔다고 하고 추우면 잘 차려입은 영등이고 비가오면 우장(雨漿)쓴 영등이 왔다하며 영등신이 들어올때는 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집안에서 더러운 일도 하지 않으며 빨래도 집안에서 말리지 않고 야외에서 말리며 보름동안을 치성드렸다 한다.
집안에서 더러운 일을 하던가 빨래를 말리면 집안에 이상한 벌레들이 많이 생긴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영등할망신이 왔다가면 해안가의 조개, 소라, 고등등이 속이 비게되는데 이것은 영등신이 포식한 때문이라하며 지금까지 송신(送神)하는 풍습이 남아있다.

'기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왕신의 전설  (0) 2006.04.06
조록이당  (0) 2006.04.06
영등대왕신의 전설  (0) 2006.04.06
광정당신  (0) 2006.04.06
고성목과 산방덕  (0) 200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