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적에 ‘강이영성이서불이’라는 남자거지는 윗마을에 살고, ‘홍은소천궁에궁전궁납’이라는 여자거지는 아랫마을에 살았다. 흉년이 든 어느 날, 자기 마을에서 얻어먹기가 쉽지 않았던 두 거지는 저마다 길을 떠났다. 윗마을 남자거지는 아랫마을에 풍년이 들었다는 소문을 듣고, 아랫마을 여자거지는 윗마을에 풍년이 들었다는 소문을 들어 서로 얻어먹으러 나섰던 것이다. 길가에 구르는 돌멩이도 연분이 있는 법, 도중에서 만난 두 거지는 부부가 됐다. 부부는 거지 짓을 그만 두고 힘을 합쳐 품팔이 나섰다. 여전히 가난했지만 그럭저럭 먹고 살았다. 그러다 딸아이가 태어났다. 가뜩이나 가난한 데다 일가친족도 없는 부부는 아이 키울 걱정에 탄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마을사람들이 나서서 도와주었다. 정성을 들여 은그릇에 죽을 쑤어다 먹이고, 밥을 해다 먹이며 딸아이를 키워 주었다. 아이 이름은 은그릇으로 밥을 먹여 키웠다 해서 ‘은장아기’라 불렀다. 부부는 두 해를 넘기고 또 딸을 낳았다. 이번에도 마을사람들이 도와주었다. 첫아이만큼 정성을 들이지는 않아 놋그릇에 밥을 해다 먹이며 키워 주었다. 그래서 둘째 딸 이름은 ‘놋장아기’라 불렀다. 또 딸이 태어났다. 역시 마을사람들이 도와주었지만 이번에는 나무바가지에 밥을 해다 먹여 키워 주었다. 그래서 셋째 딸은 ‘가믄(검은)장아기’라 부르게 됐다. 가믄장아기가 태어나 두 살이 되어가자 이상하게 운이 틔었다. 부부는 하는 일 마다 잘 돼 날마다 돈이 모아졌다. 밭을 사고 마소가 우글대고 고래등같은 기와집에 풍경을 달고 살게 되었다. 가믄장아기를 낳은 뒤 잠깐 사이에 거부가 된 것이다. 부부는 거지생활을 하며 얻어먹던 지난날들과 품팔이로 연명하던 고생들을 남의 일처럼 잊어버리고 점점 오만해져갔다. 그렇게 세월은 흐르고 딸아이들은 어느새 열다섯 살이 넘어갔다. 가랑비가 촉촉이 내리는 어느 날, 심심해진 부부는 딸들을 불러 앉혀 물었다. | |||
|
<참고문헌> 현용준(1996). 「제주의 신화」. 서문문고 현용준(1996). 「제주의 전설」. 서문문고 현용준(1996). 「제주도 민담」. 제주문화 고대경(1997). 「신들의 고향」. 중명 <자문위원> 현용준(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기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신, 설문대 (0) | 2007.05.23 |
---|---|
사만이 이야기 (0) | 2007.05.23 |
할락궁이와 사라도령의 해후 (0) | 2007.05.23 |
신산만산 한락궁이 (0) | 2007.05.23 |
사라도령과 원강암이 (0) | 200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