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8)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쪽이 읽어보세요 '반쪽이'를 읽어 보세요 '반쪽이'같은 등장 인물은 아이들에게 힘을 줍니다 (이미애 글/이억배 그림/보림출판사 )] 제주 봉개초등학교 교사 안진영 '반쪽이'는 요즘 읽어준 동화책 가운데서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다음으로 아이들이 좋아한 전 래동화 주인공이에요. 아이들의 관심을 끄는 책을 읽어.. 올바른 가치관 성장 도와주는 옛이야기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성장 도와주는 ‘옛이야기 아이들은 성장 단계에 따라 분리불안, 구순욕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형제간의 경쟁심, 자신에 대한 불만 등 다양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또한 자아를 확립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내면화하는 힘겨운 과정에서 내적인 혼란과 좌절감을 겪게 된다. .. 한겨레 옛이야기 서양에 그리스· 로마 신화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한겨레의 감동적인 신화가 있다! 신과 인간이 만들어내는 모험과 환상, 그리고 사랑의 세계, 5천 년 동안 할아버지,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바로 그 신화의 세계가 오방색의 멋에 실려 되살아났다. 1권 소별왕 대별왕/당금애기 소별왕 대별왕 - 이 세상 .. 연에 대하여 연을 가지고 놀 때 한국인은 의젓하였다. 그들은 하늘을 쳐다보았다. 하늘을 쳐다보는 자는 노예의 조건을 거부한다.” - 《한국찬가》 (* C.V.게오르규著) 예로부터 ‘연’은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설날이 되면 동네 꼬마들은 모두, 할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연에 그들의 소원을 실.. 바리데기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작자 미상의 무속신화(서사무가). 《무조전설》 《바리공주》 《칠공주》 《오구풀이》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저승으로 인도하기 위해 베풀어지는 사령제(死靈祭)로서 무속의식에서 구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노귀굿, 오구굿, 씻김굿, 망묵이굿 등의 무속.. 반쪽이-설화 미천하고 볼품없던 총각이 나중에 훌륭한 남자로 거듭나는 류의 설화. 이 설화는 "온달과 평강공주 설화"와도 일맥상통한다. 옛날 옛날, 오랜 옛날에 어떤 부부가 아들 셋을 두었다. 큰아들과 둘째 아들은 남부러울 것 없는 미남에 정상인이었는데 유독 셋째 아들만이 몸의 일부가 한쪽밖에 없는 기형.. 천지왕 설화-대별왕 소별왕 대별왕과 소별왕 하늘세상도 다스리고 사람사는 세상도 다스리는 옥황상제를 천지를 모두 다스린다고 하여 천지왕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산사람이 사는 이승은 딴데보다 더 살기 어렵고 어지러웠다. 왜 그런고 하니 해도 둘이요 달도 둘이라 해가 둘씩 뜨는 낮에는 너무 뜨거워 타 죽어가고 달이 둘씩.. 제주도설화-매고할망 제주도 설화...매고(매고)할망 고려시대 말엽쯤에 제주의 한 마을(애월읍 광령리 인근) ‘비신굴’에는 아리따운 처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비신굴에는 유목민이 주로 살았다 하여 부르는데, 이 처녀를 사랑하는 무지렁이 총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처녀는 이 총각의 속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부모.. 이전 1 ··· 74 75 76 77 78 79 다음